사례1. 우편원격교육
1) 우편원격교육이란 우편원격교육은 인쇄매체로 된 훈련교재를 통해 훈련이 실시된다. 그리고 훈련생 관리나 평가 등이 인터넷에서 이루어지는 교육훈련을 말한다. 우편원격교육은 교육을 받는 당사자의 이해 관계에 따라 그 필요성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기업은 급격한 외부 환경의 변화에 적응하고 적극적으로 인적자원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노 력을 한다. 이에 따라, 집체교육으로 인한 업무 공백을 최소화하거나, 한 자리에 한꺼번에 모이기 힘든 직원들을 교육하기 위해 원격교육이 실시될 수 있다.
▶ 사업주 관점
Ÿ 다수 근로자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Ÿ 자기주도적 학습이 이루어진다.
Ÿ 집체교육으로 인한 업무 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다.
▶ 근로자(학습자) 관점
Ÿ 업무와 학습을 병행하며, 직무능력 향상이 가능하다.
Ÿ 진로개발을 위한 준비로서 교육이 가능하다.
▶ 법정 의무교육으로서의 우편원격교육
Ÿ 관리감독자가 연간 이수해야 할 16시간 교육의 실시방법으로서 우편원격교육이 활용될 수 있다. (2021년 03월 기준)
Ÿ 교재를 통해 안전 관련 지식을 습득하고, 인터넷을 통해 평가를 받아 기준 이상의 점수를 받을 경우 수료가 가능하다.
Ÿ 우편원격교육의 경우 학습자 스스로 학습한다는 특징으로 인해, 타 사업장의 관리감독자와의 유기적인 관계 형성이나 더 나은 관리방안을 수립하기에는 어려움이 생길 수 있다.
2) 우편원격교육의 특징
① 폭넓은 교육니즈 수용 : 리더십, 경영, 직무능력향상등의 자기계발 및 인사제도와 관련된 교육등 다양한 교육니즈에 대응
② 조직 구성원의 수준향상에 효과적인 교육 : 직업 구성원의 수준향상이나 전략적 활동을 위한 방향설정에 일정한 성과가 보장되는 교육
③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없는 원격 교육 : 업무 시간에 쫓겨 독서의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은 직장인들이 제도화된 우편원격교육을 활용함으로써 자기개발 요구를 충적시키고 경쟁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④ 비용의 효과성 : 같은 교육예산 내에서 구성원에게 더 많은 교육기회를 제공하는 교육
⑤ 원격교육을 통한 학습조직의 형성 : 최신드렌드를 반영하거나 자신의 업무와 직접 관련된 서적을 읽음으로써 지식경영시대에 걸맞는 기업의 학습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⑥ 효과적인 교육진행관리가 가능한 교육 : 교육생 중심의 학습지원 시스템으로 충실한 교육관리정보가 제공되고 교육효과의 파악이나 교육진행 관리가 정확함
⑦ 개성적인 학습 및 반복학습 가능한 원격교육 : 교육생의 지속적인 자기계발의 귀중한 자료로 활용되어 업무와의 관련이나 자기계발 계획에 의거하여 스스로의 경력개발을 지원
사례2. 인터넷원격교육
1) 인터넷원격교육이란 인터넷을 통해 교육 내용을 확인, 교육평가를 실시하고, 학습자를 관리하는 일련의 과정을 인 터넷 원격교육이라고 한다. 동영상, 애니메이션 등 다양한 기법으로 개발된 콘텐츠를 직접 확인할 수 있음으로 인해 서로 다른 곳에 있는 근로자들도 같은 내용의 콘텐츠를 기반으로 학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학습자 스스로 능력과 역량을 개발하는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2) 인터넷 교육의 특징
① 시간적 공간적 유연성 학습자는 시간적인 여유가 있을 때, 원하는 장소에서 편리하고 자유롭게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필요할 때 즉각적으로 정보를 이용하는 적시의 정보접근이 가능해진다.
② 맞춤형 학습과 개별화 가능 학습자의 스타일, 요구, 기호를 반영한 맞춤형 서비스와 다양한 학습자료를 제공 할 수 있고, 학습자의 능력에 따른 속도조절, 원하는 부분에 대한 집중적이고 반복적인 학습이 가능하므로 개별화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
③ 자기주도적이고 능동적인 학습 촉진 학습자 스스로 에게 통제권을 부여하므로 자기주도적이고 계획적인 학습을 촉진할 수 있으며 발표력과 사교성이 부족한 학습자도 직접적인 대인접촉의 부담이 없으므로 자신감을 가지고 학습에 임할 수 있다.
④ 상호작용 및 협력학습의 용이성 이메일, 채팅, 토론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다른 학습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자발적인 학습 공동체 형성과 협력학습을 촉진 할 수 있다.
⑤ 비용절감의 효과 시공을 초월한 학습환경으로 교수자의 출장 경비가 출어 들고, 교재배포 및 등록과 출결 관리에 드는 행정경비가 줄어든다.
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학습내용 제공 가능 교수자가 의도한 학습내용을 대상과 장소에 구별없이 일관된 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고, 전통적 교육방식보다 정보의 기업 및 업무 활용도를 증진시킨다. 뿐만 아니라 능동적인 학습참여를 촉진하고 다양한 학습자료와 교육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⑦ 지식경영시스템을 활용한 지식 교환의 가능 기업과 조직내의 핵십 자산인 조직원들의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교환,공유 확산할 수 있다.
⑧ 학습자 정보관리 및 행정처리의 용이성 학습자의 성적, 출결, 학습활동 등 학습자 정보를 쉽게 관리할 수 있고, 교육이수와 자격증 취득 등 행정처리를 자동화 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