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역사 이론

by 벳엔터 2021. 10. 24.

옛날부터 학자들은 인가사를 일반 원칙에 따라 설명하려는 역사 이론을 발전시켜 왔다.

고대 그리스인은 역사를 끝없이 자체 반복하는 사건들의 순환이라고 생각했다(순환사관).

이와 반대로 크리스트교 이론은 역사를 시작과 끝이 있는 일련의 사건이라고 했다(직선사관).

 

크리스트교사관에 따르면, 신은 인간에게 일어난 사건들을 인간성의 구원이라는 최종 목 표로 인도한다고 한다. 중세 유럽인은 대부분 이러한 사관을 가지고 역사서를 집필했다.

 

근대에 이르러 학자들은 다양한 새로운 이론을 제시했다. 18세기 말부터 19세기까지 철학자들은 역사가 필연적인 진보 의 과정이라는 개념을 발전시켰다. 사람들은 이러한 진보가 궁극적으로 인간사를 과학적으로 이해하는데 기반을 둔, 철 저하게 논리적인 사회질서로 귀결하게 할 것이라고 믿었다.

독일의 역사가 슈펭글러는 〈서구의 몰락>에서, 문명이란 유기체처럼 탄생·성장·죽음의 순환을 거친다고 주장했다. 영 국의 역사가 토인비도 <역사의 연구>에서 순환사관을 주장했다.

그러나 토인비는 서구 문명이 이미 몰락기에 접어들었다는 슈펭글러의 주장에는 반대했다.

역사 이론은 대부분 역사가 의미와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지만, 이것을 뒷받침해 줄 만한 확실한 증거는 없다.

현대 학자들은 이런 것들에 의문을 제기하며, 그 대신 지식의 한 분야인 역사학의 성격, 역사가들이 사용하는 설명 방법 등 과 같은 문제에 관심을 갖는다.

 

역사 서술의 발전

 

(1) 고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 기록은, 기원전 1000 년 전쯤에 중국에서 갑골에 쓴 기록이다. 기원전 100년경에 중국의 역사가 사마 천은 〈사기>를 저술했다. 서양의 역사 서술은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했다. 기원전 5 세기에 살았던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역사학의 아버 지'라고 한다.

 

헤로도토스는 그리스와 페르시아 사이에 일어 난 전쟁을 자세히 서술한 <페르시아전쟁사>를 남겼다. 헤로 도토스는 주로 전설이나 구술 증언을 바탕으로 역사를 서술했으며, 역사를 생생하게 서술하려고 상상도 첨가했는데 현대 역사가들은 그것이 정확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투키디데스는 역사를 비판적이며, 정확하게 서술하려고 노력했다.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전쟁사>는 스파르타와 아테네 사이에 일 어난 전쟁을 사건이 일어난 순서대로 기록했다. 로마시대에는 리비우스가 <로마사>에서 로마의 탄생부터 기원전 9세기에 이르는 시기를 상세하게 저술했다. 타키투스 는 〈역사>와 <연대기 >에서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죽음(서기 14년)부터 69년까지의 로마 역사를 다루었다.

 

(2) 중세

중세에는 수도사를 비롯한 크리스트교 작가들이 역사를 서술했다. 일부 크리스트교 역사가들은 그리스· 로마의 기록과 유대교·크리스트교 역사를 합쳐 '보편사'를 서술 하려고 했다. 4세기 초에 예우세비오스는 이런 방식으로 세계 사서술했으며, 저서 <연대기>에서 신이 인간사를 지배한 는정에서 크리스트교의 역사를 서술했다. 5세기에는 아 우스티누스가 신국)에서 이러한 사상을 역사철학으로 발전시켰다.

 

중세의 역사가들은 신의 손길이 역사 사건에 영향 을 미친다는 것을 여주고 노력했다 현재 이들의 저서는 주로 중세의 사건 기록으로서 가치를 지닌다. 14세기에는 아랍의 역사가 이븐할둔이 세계 문명에 관한 7권의 <세계사>를 저술했다. 같은 시기에 유럽에서는 성직자 가 아닌 사람들이 역사를 저술하기 시작했다. 15세기의 유럽 역사가들은 신보다는 인간의 관점에서 역사를 서술했다.

 

(3) 현대

현대의 중요한 역사가 가운데 한 사람은 영국의 역사가 기번이다. 저서 <로마제국쇠망사>는 기번의 정확하고 철저한 학문 태도를 잘 보여주며, 기번을 비롯한 당대 사상가 들의 반기독교 경향을 반영하고 있다. 기번은 이 책에서 크리 스트교를 로마제국 멸망의 한 요인이라고 주장했다.

 

현대의 역사 연구 방법론은 19세기에 성장했는데, 독일의 역사가 랑케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근대 역사학의 아버지' 라고 불린 랑케는 현대 역사가들이 사료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기본 방법론을 만들었다. 또한 제자들을 가르칠 때 연구 발표나 토론 등을 통해 공부하는 세미나 방식을 도입했다.

 

20세기 이후 역사학은 시대의 정치· 사회·문화· 경제적 번 화와 함께 발전했다. 19세기 역사가들은 거의 백인 남자에 중 했다산층이나 상류층이었고, 역사학의 주제도 정치, 경제와 같은 몇몇 분야에 한정됐다. 이에 비해 오늘날 역사가들은 다양한 계층이며, 연구 분야도 다양하다. 전에는 무시했던 여성, 농민, 산업 노동자, 소수 인종, 소수 종교, 성 소수자, 개인의 삶, 가 정생활 같은 주제에 관심을 갖고 연구한다.

댓글